[iOS] 네비게이션(Navigation)과 모달(Modality) 네비게이션(Navigation) 종류 Hierarchical Flat Content-Driven or Experience-Driven 모달(Modality) 종류 Alerts Activity Views Sharing and Actions Action Sheets 모달(Modality) 스타일 Automatic FullScreen PopOver PageSheet and FormSheet Current Context Custom iOS 3년 전
[iOS] 리스트 및 그리드 뷰 구성하기 1. Layout: CompositionalLayout Layout을 구성하는 요소를 관리 Item UICollectionViewCompositionalLayout { let itemSize = NSCollectionLayoutSize(widthDimension: .fractionalWidth(1), heightDimension: .fractionalHeight(1)) let item = NSCollectionLayoutItem(layoutSize: itemSize) let groupSize = NSCollectionLayoutSize(widthDimension: .fractionalWidth(1), .. iOS 3년 전
[iOS] TabBarController & NavigationController & SearchController & InstanceViewController 1. TabBarController UIVeiwController의 집합이다. Editor > Embed in > Tab Bar Controller 를 선택하여 만든다. 이렇게 만들어진 Controller를 다른 View와 연결시켜주면 된다. (Ctrl + Drag) 각 탭의 속성에서 Title과 Icon image를 설정할 수 있다. 2. NavigationController Nested view 형태로 Navigation Controller를 추가할 수 있다. Editor > Embed in > Navigation Controller 를 선택하여 만든다. 3. SearchController UISearchController로 생성할 수 있다. (코드로 구현) UISearchResultsUpdating.. iOS 3년 전
파일 시스템(File System) 파일은 어떻게 메모리에 기록되는가? 파일 저장을 하게 되면 보조기억장치(RAM)에 있는 데이터를 주기억장치(HDD, SDD)로 옮기는 과정이 발생한다. 파일(=데이터)이라는 것은 결국 0과 1의 조합이다.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다. 이 데이터를 어떻게 옮길 것인가? 그 방법은 다양하다. 1. Array List 를 사용하는 방법 이 방법은 직관적이지만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 면에서는 부족하다. 가령 저장할 공간을 메모리에 연속으로 할당할 수 없는 경우에는? 데이터가 쪼개져서 저장되고 이는 데이터를 불러오기 어려울 것이다. 2. Linked List 를 사용하는 방법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다. 단, 데이터의 삭제 및 추가가 빈번하게 발생할 때, 연산시간이 소요된다. 3. Hash Tab.. IT지식 3년 전
세션(Session)과 토큰(Token) 인증을 위한 수단으로 세션과 토큰을 활용한다.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일종의 키(key)라고 생각하면 된다. 이 둘의 차이점은 세션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되고, 토큰은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된다는 점이다. 공통점은 둘다 주기적으로 갱신이 된다는 점이다. IT지식 3년 전
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(CORS) 문제 CORS(Cross-Origin Resource Sharing) 한 출처에서 실행 중인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출처의 선택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, 브라우저에 알려주는 체제 CORS 에러 한 출처에서 다른 출처의 리소스 수신을 요청하여 수신할 때, 브라우저에서 이를 허용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에러 발생 원인 및 해결 브라우저가 같은 출처끼리만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SOP 정책을 따르기 때문에 발생한다. 이는 신뢰할 수 없는 리소스를 수신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. Access-Control-Allow-Origin 설정을 통해 수신 권한을 부여해서 해결할 수 있다. 더 자세한 사항은... https://inpa.tistory.com/entry/WEB-%F0%9F%93%9A-CO.. IT지식 3년 전